청계천에 놓인 36개의 돌, [청계유석]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음료수 캔, 우산, 창문과 문, 자전거, 자동차 등을 만들며 생겨난 알루미늄 조각을 재생, 압축해 만든 조형물입니다. 각 [청계유석]의 표면에는 저마다의 흔적이 남아있어, 물결처럼 잔잔한 변화를 일으키고 햇빛을 받아 반짝이다가 시간이 지나면 돌처럼 바래어갑니다. 청계천이 덮였다가 다시 열리며 오랜 세월과 생태를 품어온 것처럼, 이 작품 또한 잠시 머문 뒤 재활용되어 새로운 자원으로 순환하게 됩니다.

These 36 stones are sculpted from recycled aluminum fragments—once part of everyday urban objects such as drink cans, umbrellas, windows, bicycles, and cars. Their surfaces preserve delicate traces of origin, shimmering in light, shifting like ripples, and gradually weathering into the stillness of stone. Like the Cheonggyecheon , once buried and later revived, this work embodies the resilience of time and place. It lingers only briefly before returning to the sustainable cycle of upcycling and renewal.


본 프로젝트는 서울시 디자인산업담당관 주관 2025 청계천공공미술프로젝트 ‘청계공존’ 작품공모 크리에이티브 청계(Creative Cheonggye) 당선작입니다.
This project is the winning entry of the 2025 Cheonggyecheon Public Art Project ‘Cheonggye Coexistence’, organized by the Design Industry Divis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시행사 : (주)어반콜라보  
알루미늄큐브제작: 알베코이앤씨(주)
현장시공:  마크플랜




#07.  Fractured Horizon



Top View
Fractured Horizon
균열의 지평


Height: 38.6 cm          
Weight : 65.94 kg

Origin : Car wheels, Car engine blocks
Collected From : Gyeonggi-do, Incheon


겹겹의 주름은 마치 오래된 알루미늄 간판이나 광고판이 찢겨 압축된 자취를 닮았습니다. 빛을 반사하던 얇은 금속판은 이제 무게감 있는 덩어리로 변하며, 수평으로 이어진 결은 지평선 같은 풍경을 형성합니다. Its compressed folds resemble the remnants of weathered aluminum signage, once lit with the glow of city nights. The thin reflective plates, pressed into density, form horizontal bands that unfold like the edge of a distant horizon.

Front
Right
Back
Left

균열의 지평은 한때 도시의 밤을 밝히던 간판이 남긴 은빛의 기억일지도 모릅니다. 부서지고 압착된 표면 속에서, 번쩍이던 불빛은 사라졌지만 시간의 흔적은 새로운 지형으로 다시 피어납니다. 이 돌은 빛과 소음으로 가득했던 도시가 침묵 속에서 남긴 풍경이자, 재생을 향한 전환점입니다. Fractured Horizon may be read as the silver memory of signs that once illuminated the streets. Though the lights have gone, their traces remain pressed into a new terrain. What was once brightness and noise has been stilled into silence, awaiting its next transformation in the cycle of renew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