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에 놓인 36개의 돌, [청계유석]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음료수 캔, 우산, 창문과 문, 자전거, 자동차 등을 만들며 생겨난 알루미늄 조각을 재생, 압축해 만든 조형물입니다. 각 [청계유석]의 표면에는 저마다의 흔적이 남아있어, 물결처럼 잔잔한 변화를 일으키고 햇빛을 받아 반짝이다가 시간이 지나면 돌처럼 바래어갑니다. 청계천이 덮였다가 다시 열리며 오랜 세월과 생태를 품어온 것처럼, 이 작품 또한 잠시 머문 뒤 재활용되어 새로운 자원으로 순환하게 됩니다.

These 36 stones are sculpted from recycled aluminum fragments—once part of everyday urban objects such as drink cans, umbrellas, windows, bicycles, and cars. Their surfaces preserve delicate traces of origin, shimmering in light, shifting like ripples, and gradually weathering into the stillness of stone. Like the Cheonggyecheon , once buried and later revived, this work embodies the resilience of time and place. It lingers only briefly before returning to the sustainable cycle of upcycling and renewal.


본 프로젝트는 서울시 디자인산업담당관 주관 2025 청계천공공미술프로젝트 ‘청계공존’ 작품공모 크리에이티브 청계(Creative Cheonggye) 당선작입니다.
This project is the winning entry of the 2025 Cheonggyecheon Public Art Project ‘Cheonggye Coexistence’, organized by the Design Industry Divis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시행사 : (주)어반콜라보  
알루미늄큐브제작: 알베코이앤씨(주)
현장시공:  마크플랜







Fig. 01  장통교와삼일교사이 ⓒ SS2 Architects


본 작품은 청계천의 장통교와 삼일교 사이에 놓여있는 돌의 군집 (Fig. 01)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으로, 물의 흐름을 조율하고 생태적 리듬을 만들었던 전통 정원에서의 ʻ돌’의 역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프로젝트입니다. 압축된 재생 알루미늄 큐브로 만들어진 [청계유석]은 흐르는 물결과의 관계 속에서 리듬을 만들어내며 생태적 질서와 시각적 리듬을 형성합니다.  새롭게 제안하는 도시의 유석들은, 산업의 잔재를 생태의 질서로 환원시키는 순환적 조형 개념을 담았고, 청계천의 역사적 층위를 반영한 시적 장치로 작동합니다.

This project is inspired by the lithic assemblage located between Jangtong Bridge and Samil Bridge along Cheonggyecheon (Fig. 01). It offers a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the stone’s role in traditional gardens, where stones mediated the flow of water and sustained ecological rhythms. [Cheonggye Yu-seok], composed of compressed recycled aluminum cubes, engages in a dialogue with the stream’s current, producing both ecological order and visual rhythm. As urban stones, they embody a cyclical sculptural concept in which industrial remnants are reconstituted as ecological structure. Through this process, the work foregrounds the material agency of the recycled artifact, operating as a poetic device that reflects the layered temporalities inscribed within Cheonggyecheon’s history.





Cheonggyecheon has long cut through the center of Seoul, serving as the city’s waterway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over six centuries ago. Once a vital stream that sustained daily urban life and maintained the hygiene of the capital, it later became obscured—polluted, buried, and nearly forgotten amidst the forces of modernization (Fig. 02, 03). The 2005 restoration, however, transformed its status: what reemerged was not simply a canal, but a living urban landscape layered with ecology, memory, and time. Today, Cheonggyecheon is read less as infrastructure than as a palimpsest—an active site where natural systems, historical strata, and contemporary urban life flow together.  Cheonggyecheon is a unique place that embodies Seoul’s history, modernization, and restoration. Within this context, [Cheonggye Yu-seok]—created from recycled aluminum, the industrial residue of the city—reveals a landscape where past and present, urban life and nature, breathe together.
Fig. 02 1965 ⓒ 국가기록원
Fig. 03 1972 ⓒ 서울기록원
청계천은 600여 년 전 조선 시대부터 서울의 중심을 가로지르며 도시의 물길로 기능해온 장소로, 과거에는 도성을 청결히 유지하는 생활 하천이자 도시의 근대화 과정 속에서 오염과 덮개로 가려졌던 잊힌 공간이었습니다. (Fig 02, 03)   하지만 2005년 복원을 통해 다시 세상 위로 모습을 드러낸 이후,  청계천은 단지 수로가 아닌 도시의 생태와 기억, 시간의 결을 품은 살아 있는 풍경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청계천은 서울의 역사와 근대화, 그리고 복원의 과정을 모두 품고 있는 특별한 장소로,  이 공간에 도시의 산업 흔적이었던 알루미늄을 재생해서 만들어진 [청계유석]은 과거와 현재, 도시와 자연이 함께 숨 쉬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Fig. 04 보길도 세연정 ⓒ오문수

돌은 전통적으로 단순한 경관 요소를 넘어 물의 흐름을 조율하고 소용돌이와 패턴 등 생태적 리듬을 만들어내며, 관조와 탐미, 나아가 사색을 매개하는 오브제로 기능해왔습니다. (Fig. 04) 동시에 돌은 자연의 일부이자 사유의 대상으로 자리하며, 시간과 장소의 흔적을 품은 자연의 압축된 역사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보는 돌들은 오랜 시간과 장소를 거쳐서 지금 우리 주변에 있습니다. 그래서 자세히 보면 많은 층과 조직 등 흔적이 그 안에 담겨있습니다. (Fig. 05) 공공 미술로서의 돌을 청계천에 놓아둔다고 하면 자연의 돌과 비슷하지만 보다 은유적으로 여기에 더 도시나 장소의 이야기를 담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저희는 전통을 도시 환경에서 재해석하여 청계천에 돌을 잠시 놓아둠으로써 그 역사성과 시적 감성을 시민과 공유하고자 했습니다. (Fig. 06)  청계천은 오랫동안 서울의 중심을 흐르며 한때는 생활하수와 폐수를 담아내는 하천이었으나, 회복과 재생의 과정을 거쳐 오늘날에는 생명을 품는 도시의 자연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공공미술로서 청계천에 돌을 놓는 행위는 단순히 자연석을 재현하는 차원을 넘어, 은유적으로 도시와 장소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장치가 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청계유석]이 탄생하였습니다. 재생 알루미늄을 돌처럼 단단히 압축하여 만든 이 조형물은 단순한 부산물이 아니라, 산업과 소비 과정에서 발생한 도시의 흔적을 응축한 매개체입니다. 표면에 남은 긁힘과 찌그러짐, 불규칙한 결은 일종의 ‘도시의 기억’으로 작동하며, 이를 청계천의 물길 속에 놓음으로써 물과 빛, 생태적 리듬과 만나 새로운 질서를 형성합니다.  [청계유석]에 사용된 재생 알루미늄은 수도권에서 발생한 산업·건축 자재의 잔여물입니다. (Fig. 07) 이 재료는 도시의 소비가 남긴 흔적이자, 다시 흐름 속에 놓이며 도시와 생태가 어떻게 순환적 관계를 맺는지를 시적으로 보여주는 매개체가 됩니다. 폐기된 금속이 예술품으로 전환되는 이 장치는, 도시의 과거와 현재를 동시에 환기하는 공공예술의 새로운 시도로 자리합니다.


Fig. 05 청계천의 돌들 ⓒSS2 Architects


Fig. 06 청계유석 ⓒSS2 Architects

Fig. 07 도시에서 소비되고 버려지는 알루미늄 폐기물들 ⓒSS2 Architects

청계천은 생태적 흐름과 도시적 풍경이 공존하는 특별한 공간입니다. 디자인 과정에서 저희는 유속과 수심, 빛과 생태 환경을 면밀히 고려하여 큐브의 위치와 간격을 정밀하게 조율했습니다. (Fig. 08)  [청계유석]은 청계천 바닥에 일정한 간격과 높낮이로 고정되며, 물의 흐름을 직조하듯 조율하거나 왜곡하며 시시각각 변화하는 빛과 반사, 흐름의 리듬 속에서 주변 경관과 상호작용합니다. 반사되는 빛은 시간대와 기후 조건에 따라 다양한 표정을 만들어내고, 시민의 보행 경험과 시각적 경로를 변주합니다. 조형물의 배치는 겉으로는 비정형적이지만, 청계천의 유속, 바닥 수심, 하천 생태계의 흐름에 기반한 환경적 고려에 따라 정교하게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작품이 청계천의 흐름 속에서 살아 움직이도록 하는 실험적 접근을 시도했습니다.
그 결과 이번 작업은 도시의 흔적이 자연의 일부로 다시 편입되며, 인공과 생태가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실험으로 완성되었습니다. (Fig. 09)


[청계유석]은 자연과 도시의 경계를 오가며 사유의 장을 제공하는 ‘산책의 조각’으로 작동합니다. 시민은 청계천변을 걸으며 흐름의 패턴을 관찰하고, 반짝임을 마주하며, 수면 아래 어류와 물의 움직임을 함께 응시하게 됩니다. 이는 관조의 경험이자, 물질 순환과 생태 감수성을 회복시키는 도시적 명상의 체계로 기능합니다. (Fig. 10)


Fig. 10 산책의 조각, 청계유석 ⓒSS2 Architects

In East Asian traditions, stones have long served as more than ornamental elements. They were placed in gardens and waterscapes to choreograph the flow of water, to create eddies and patterns, and to become objects of contemplation and reflection (Fig. 04).  Stones, in this sense, embody traces of time and place, bearing the compressed history of nature (Fig. 05). Our intervention in Cheonggyecheon reinterprets this legacy within an urban context: by placing a “stone” in the stream, we seek to evoke the site’s historical resonance and poetic sensibility, opening them to shared public experience.  (Fig. 06) Cheonggyecheon, the restored stream at the heart of Seoul, is itself a palimpsest of contrasting conditions. Once a polluted drainage channel, it has been rehabilitated into an ecological corridor now inhabited by diverse forms of urban life. To place a stone here is not simply to replicate a natural boulder, but to let the site speak through metaphor—linking urban histories with natural rhythms, and transforming material remnants into vessels of memory. To place a stone in Cheonggyecheon as a work of public art is not merely to mimic the presence of natural stone, but to construct a more metaphorical figure—one capable of carrying the layered narratives of the city and the site itself

[Cheonggye Yu-seok] emerges from this framework. Formed by compressing recycled aluminum into solid cubes, it is not an incidental by-product but a condensed artifact of the city’s industrial and consumptive processes. The scratches, folds, and irregular surfaces inscribed on its exterior function as a kind of “urban memory,” which, when situated within the flow of Cheonggyecheon, encounters water, light, and ecological rhythms to generate new spatial and sensory orders.   The aluminum originates from discarded industrial and construction residu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ig. 07). Once waste, these fragments are reconfigured into sculptural matter, reinserted into circulation as a medium that reveals the cyclical entanglement of city and ecology. In this way, the work positions urban debris as both geological metaphor and aesthetic catalyst, simultaneously evoking past and present.


Fig. 08 물결 패턴 시뮬레이션 ⓒSS2 Architects

Cheonggyecheon is a unique place where ecological flow and urban landscape coexist. During the design process, we carefully calibrated the position and spacing of the cubes with close attention to water flow, depth, light, and the surrounding ecology. (Fig.08) Installed along the bed of the Cheonggyecheon Stream at measured intervals and elevations, [Cheonggye Yu-seok]orchestrates and distorts the flow of water as if weaving its movement. Within the shifting interplay of light, reflection, and current, the work engages in a continual dialogue with its surroundings. The reflected light produces a spectrum of temporal expressions—changing with the hour, the season, and the weather—subtly altering the pedestrian’s visual and spatial experience. Though seemingly irregular, the arrangement is precisely calibrated in response to the stream’s velocity, depth, and ecological patterns, grounding its form in the environmental logic of the site.   This was an experimental approach aimed at minimizing environmental impact while allowing the work to move and breathe within the current of Cheonggyecheon.

As a result, the project was realized as an experiment in which the traces of the city are reintegrated into nature, revealing the potential connections between the artificial and the ecological. (Fig. 09)


Fig. 09 설치 예상 렌더링 이미지 ⓒSS2 Architects

[Cheonggye Yu-seok] operates as a mediating artifact between nature and the constructed city—a spatial apparatus that frames walking as a mode of reflection. Situated along the stream, it invites the observer to engage with the dynamic interplay of flow, light, and aquatic life beneath the surface. Through this encounter, the work reactivates sensory awareness and ecological empathy, proposing an urban system in which contemplation and material circulation converge as a renewed form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Fig. 10)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