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에 놓인 36개의 돌, [청계유석]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음료수 캔, 우산, 창문과 문, 자전거, 자동차 등을 만들며 생겨난 알루미늄 조각을 재생, 압축해 만든 조형물입니다. 각 [청계유석]의 표면에는 저마다의 흔적이 남아있어, 물결처럼 잔잔한 변화를 일으키고 햇빛을 받아 반짝이다가 시간이 지나면 돌처럼 바래어갑니다. 청계천이 덮였다가 다시 열리며 오랜 세월과 생태를 품어온 것처럼, 이 작품 또한 잠시 머문 뒤 재활용되어 새로운 자원으로 순환하게 됩니다.

These 36 stones are sculpted from recycled aluminum fragments—once part of everyday urban objects such as drink cans, umbrellas, windows, bicycles, and cars. Their surfaces preserve delicate traces of origin, shimmering in light, shifting like ripples, and gradually weathering into the stillness of stone. Like the Cheonggyecheon , once buried and later revived, this work embodies the resilience of time and place. It lingers only briefly before returning to the sustainable cycle of upcycling and renewal.


본 프로젝트는 서울시 디자인산업담당관 주관 2025 청계천공공미술프로젝트 ‘청계공존’ 작품공모 크리에이티브 청계(Creative Cheonggye) 당선작입니다.
This project is the winning entry of the 2025 Cheonggyecheon Public Art Project ‘Cheonggye Coexistence’, organized by the Design Industry Divis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시행사 : (주)어반콜라보  
알루미늄큐브제작: 알베코이앤씨(주)
현장시공:  마크플랜







청계유석 ⓒSS2 Architects


Fig. 01  청계유석 개념도  ⓒSS2 Architects


산업과 소비의 흔적이었던 알루미늄 스크랩이 청계천 속에서 새로운 질서를 만들고, 다시 자원순환 과정으로 돌아가는 구조는 도시와 자연, 과거와 현재가 이어지는 순환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Fig. 01)  동시에 각 큐브의 표면에 남은 긁힘과 흔적은 도시가 지나온 시간을 기억하는 매개체가 됩니다. (Fig. 03)

[청계유석]은 재료와 설치 방식, 그리고 자원순환을 작품의 구조에 직접 포함시킵니다.  설치와 철거, 그리고 이후 자원순환으로의 환원까지를 작품의 일부로 설정하고, ‘흔적 없는 철수’를 계획한 것은 일반적인 설치 미술과는 다른 방식입니다.  이런 시도가 관람객들에게도 도시와 예술, 환경이 맺는 새로운 관계를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Once remnants of industry and consumption, the aluminum scraps in Cheonggyecheon establish a new order before returning to the cycle of reuse—embodying the continuity between city and nature, past and present (Fig. 01).  At the same time, the scratches and marks on each cube serve as vessels of memory, preserving the traces of the city’s passage through time (Fig. 03).

Cheonggye Yuseok incorporates its material, method of installation, and resource circulation directly into the structure of the work. By defining installation, dismantling, and eventual return to recycling as integral components, and by planning for a “withdrawal without trace,” it departs from conventional approaches to installation art. This attempt seeks to offer viewer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new relationships between the city, art, and the environment.

Fig. 02  알루미늄  ⓒchemie

Fig. 03  알루미늄 스크랩 표면  ⓒ SS2 Architects


리서치 및 재료 수급·한국철강금속·경기도 평택시 ⓒ SS2 Architects

제작과정 및 수질테스트 ⓒ SS2 Architects


청계유석에 사용된 재생 알루미늄 스크랩은 실제로 서울과 수도권 일대의 고물상에서 수집·가공되는 알루미늄에서 출발했습니다. 세척과 탈지 과정을 거쳐 유통을 위한 최적의 크기로 압축된 후 제작 공장으로 보내지는 재생 알루미늄을, 저희는 그 공정 중 원형 그대로 가져와 작품에 활용했습니다. 다양한 식생이 서식하는 청계천에 설치되는 만큼, 목업 모델을 한 달간 물에 담가 수질 검사를 진행해 기존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했으며, 알루미늄을 절단하거나 다양한 크기로 압축해 보면서 최적의 스케일을 도출했습니다.

처음에는 반짝이는 표면을 가진 알루미늄 스크랩이지만, 전시가 끝날 즈음에는 자연 산화를 거쳐 실제 돌과 비슷한 모습을 띠게 됩니다. 그러나 여전히 순도 100% 알루미늄이기에, 철거 후 전량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The recycled aluminum scraps used in Cheonggye Yuseok originate from junkyard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where aluminum is collected and processed. Typically, after being cleaned and degreased, the aluminum is compressed into optimal sizes for distribution and then sent to production plants. Instead, we intervened in this cycle, sourcing the aluminum scraps in their raw form and incorporating them directly into the work. Since the installation would be immersed in Cheonggyecheon—a habitat for diverse vegetation—we conducted a month-long water immersion test with a mock-up model, confirming through water quality analysis that the material would have no adverse impact. Through experiments of cutting and compressing the scraps into various dimensions, we derived the most suitable scale for the project.

At first, the aluminum scraps glisten with metallic sheen, but by the end of the exhibition they will have undergone natural oxidation, resembling stones in appearance. Nevertheless, as they remain 100% pure aluminum, the entirety of the material can be recycled once the work is dismantled.



설치과정 및 모형 시뮬레이션 ⓒ SS2 Architects


약 두 달간 전시될 작품을 위해 기존 청계천 바닥을 타공하는 방식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대신, 전시 종료 후에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설치 구조물까지 고려하였고, 각 알루미늄 스크랩을 고정하는 프레임으로는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가설 비계 프레임을 활용했습니다. 약 70kg에 달하는 알루미늄 스크랩을 비계 구조물 사이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무타공 설치를 실현했으며, 커스텀 제작이 아닌 표준화된 부재와 시공 방식을 적용해 빠른 조립과 설치가 가능했습니다. 전시가 끝난 후에도 빠른 해체와 재활용이 가능하며, 이는 “일시적으로 장소를 점유하지만 흔적은 남기지 않는다”는 본 프로젝트의 핵심 개념을 설치와 해체 과정까지 확장한 것입니다.

또한 실제 물의 흐름과 빛의 일렁임을 검증하기 위해 1:20 스케일의 모형을 제작하여 물결의 흐름과 빛의 반사 등을 시뮬레이션했습니다. 이 실험을 통해 확인된 조건과 장면은 실제 설치 이후에도 동일하게 유지되었습니다.
For a project scheduled to be exhibited for about two months, we considered it unsuitable to drill into the existing Cheonggyecheon riverbed. Instead, we designed the installation so that its structural components could also be reused after the exhibition. The aluminum scraps, each weighing around 70 kilograms, were secured by inserting them into temporary scaffolding frames commonly used on construction sites. This method enabled a non-invasive installation without drilling. By employing standardized components and construction methods rather than custom-made parts, the work could be assembled and installed quickly, and after the exhibition, it can be dismantled and recycled just as efficiently. This approach extends the project’s central concept—“temporarily occupying a site without leaving traces”—to both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processes.

To visually examine the interaction of water flow and light, we also produced a 1:20 scale model to simulate wave patterns and reflections. The conditions and effects observed in these experiments were preserved in the final installation.



청계유석 아카이빙 ⓒ SS2 Architects



이렇게 제작된 36개의 청계유석은 원재료의 형태, 수량, 압축 강도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서로 다른 모습을 띠게 되었습니다. 어떤 유석은 구부러진 형태가 두드러지고, 또 다른 유석은 마치 스파게티 면발이 서로 얽힌 듯한 모습을 보입니다. 이는 디자이너의 인위적인 개입이 아닌, 재료가 스스로 만들어낸 자연스러운 패턴과 높이 차이로, 각 유석에 고유한 정체성을 부여합니다. 이렇게 독자적인 성격을 지닌 36개의 청계유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홈페이지의 인덱스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The 36 Cheonggye Yuseok sculptures each present a distinct appearance shaped by variables such as the form, quantity, and compression strength of the raw material. Some take on curved, bent forms, while others resemble strands of spaghetti intertwined with one another. Rather than being the result of deliberate design intervention, these naturally formed variations in pattern and height confer a unique identity to each stone. Detailed descriptions of all 36 uniquely characterized Cheonggye Yuseok works can be found through the index on this website.



정보그래픽 ⓒ SS2 Architects

작품설치 현장에는 <청계유석>에 대한 정보가 담긴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QR 코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QR 코드는 또한 시민이 해당 조형물에 이름을 붙이거나, 경험을 기록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열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연결됩니다. 이로써 조형물은 정적인 오브제를 넘어, 도시 물질의 순환과 시민의 기억을 담는 디지털 공공 예술 플랫폼으로 기능합니다.  
At the installation site, a QR code is affixed, directing visitors to a dedicated website that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about <Cheonggye Yuseok>. The same QR code also serves as an interactive interface through which the public can give the sculpture a name, record their experiences, and explore others’ reflections. In this way, the sculpture transcends its status as a static object, evolving into a dynamic digital public art platform that embodies the circulation of urban materials and the shared memory of the city.



청계유석 ⓒ SS2 Architects





Home